[저탄고지] 시즌1 종료, 잠시 쉬어갑니다! 3년의 여정 끝, 연말과 함께 잠시 쉬어갑니다. 시즌 1을 마무리하며 준비한 '저탄고지 recap' - 저탄고지는 누가, 몇명이, 얼마나 들어주셨을까요? - 저탄고지에서 가장 핫했던 에피소드들은? - 저탄고지 멤버들의 '자식같은 에피소드'? - 가장 저탄고지를 많이 들어주시고, 사랑해주신 구독자님은? 3년 동안 말 못했던 멤버들의 속사정과 그간의 소감, 시즌2에 대한 다짐까지~ 함께 시즌1을 마무리합니다. * 그동안 저탄고지 시즌1을 사랑해주신 구독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마음과 새해의 안녕을 소망합니다.
Dec 31, 2024•44 min
ep.83 계엄과 민주주의 저탄고지 83회 24년 12월 3일 진눈깨비가 내리던 고요한 밤,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계엄령은 무엇이고, 왜 선포된 것일까요? 형형색색의 응원봉과 촛불이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 '완전한 민주주의'로 평가받던 대한민국, 과연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요? 저탄고지 멤버들과 함께 생각해봅시다. -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 - 대통령 탄핵 소추안 발의, 엇갈려버린 입장 - 우리가 마주한 민주주의 - 우리나라 계엄과 항쟁의 역사 -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 Key Speaker: 겸또 사진출처: 한국일보
Dec 17, 2024•43 min•Season 1Ep. 83
ep. 82 [둠스펜딩 Doom spending] 사회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둠스펜딩이 반복될까? 저탄고지 82회 (낮춰요 탄식) 둠스펜딩 전에 욜로도 있었고, 가심비 소비도 있었잖아요? 그리고 요즘은 무지출 챌린지가 대세라던데.. 저탄고지 멤버들과 함께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하는 소비 패턴은 계속해서 반복될지, 아니면 또다른 소비패턴이 등장할 지 이야기해봅시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둠스펜딩을 안 할 수 있을지도 함께 이야기해봅시다. Key Speaker: 리담
Dec 12, 2024•38 min•Season 1Ep. 82
ep. 81 [둠스펜딩 Doom spending] 나도 모르게 뭔가 사고 있는 이유는?! 저탄고지 81회 (높여요 지식) 에라 모르겠다! 불안한 속에서 비싼 걸 사버리는 둠스펜딩(Doom spending)에 대해서 아시나요? 경제상황이 불안정한 mz세대를 중심으로 과시적이면서 충동적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둠스펜딩이 증가하는 원인과 그 사회적 배경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이러한 소비가 우리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냥 이대로 소비해도 괜찮을지. 저탄고지와 함께 알아봅니다. Key Speaker: 리담
Dec 02, 2024•32 min•Season 1Ep. 81
ep. 80 배달 플랫폼 수수료 인상 저탄고지 80회 (낮춰요 탄식) 배달 플랫폼 수수료 인상에 대한 사회적 영향과 갈등 해결방법은 없을까요? 다양한 관점으로 저탄고지 멤버들이 논의해보았습니다. - 비용증가의 해결방법 (공공앱 지원 및 확대 vs 시장에 맡기자!) - 플랫폼 기업의 이윤 추구와 사회적 책임의 균형 - 정부 규제에 대한 필요성 Key Speaker: 투토
Dec 02, 2024•37 min•Season 1Ep. 80
ep. 79 배달 플랫폼 수수료 인상 저탄고지 79회 (높여요 지식) 배달의 플랫폼의 배달 수수료 인상 발표로 자영업자들의 항의와 불만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비용 부담이 더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수수료 인상이 자영업자들에게 얼마나 부담이 되는 건지? 플랫폼 기업이 수수료 인상하는 이유, 더불어 자영업자들의 항의를 중재하는 정부의 대응까지 저탄고지 멤버들이 알아보았습니다. Key Speaker: 투토
Oct 31, 2024•23 min•Season 1Ep. 78
ep. 78 [딥러닝의 명과암] AI 기술 규제 VS 개발 저탄고지 78회 (낮춰요 탄식) 진부하지만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기술 규제 vs 개발 논의, 우리는 기술의 특혜를 온전히 누리고 있는 것일까요? 기술 개발에 대한 저탄고지 멤버들의 생각을 가감없이 나누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AI 규제 VS 개발 - 플랫폼 기업의 암호화 기술은 계속 적용되어야 할까? Key Speaker: 겸또
Oct 17, 2024•41 min
저탄고지 77회 (높여요 지식) "누가 진짜고 누가 가짜일까?"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딥페이크. 단순한 얼굴 바꾸기를 넘어, 이제는 특정인의 목소리, 행동까지 완벽하게 모방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딥러닝 기술의 놀라운 발전 과정부터, 딥페이크가 만들어내는 현실과의 경계를 허무는 충격적인 사례, 그리고 딥페이크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와 해결 방안까지 깊이 있게 다뤄봅니다. - 딥페이크 기술의 기본개념과 발전 과정 - 딥러닝 기술의 활용예시 - 범죄로 활용되는 딥페이크 기술 - 딥페이크 시대,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 Key Speaker: 겸또
Oct 02, 2024•25 min
ep. 76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새로운 사회안전망 vs 근로의욕 저하 저탄고지 76회 (낮춰요 탄식) 기본소득 혹은 안심소득, 저탄고지 멤버들도 도입해야될지 말지 의견이 팽팽합니다. 대안적 소득보장제도는 새로운 사회안전망이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결국 근로의욕을 떨어뜨릴까요? 저탄고지 멤버들과 자유롭게 상상해봅시다. Key Speaker: 리담
Sep 20, 2024•31 min•Season 1Ep. 76
ep. 75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기본소득과 안심소득은 미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저탄고지 75회 (높여요 지식) 모든 사람이 돈을 똑같이 받거나, 일해서 돈을 벌고 있어도 돈을 받을 수 있는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 기본소득과 부의 소득세는 어떻게 등장했을까요? - 지금 시행되고 있는 기본소득과 안심소득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요? - AI로 많은 노동이 대체될 미래에 과연 대안적 소득보장제도들은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저탄고지와 함께 살펴봅니다. Key Speaker: 리담
Sep 04, 2024•29 min•Season 1Ep. 75
ep. 74 [큐텐 사태] 이커머스 사업의 특성과 규제 필요성에 대하여 저탄고지 74회 (낮춰요 탄식) 티몬과 위메프는 오랜 자본잠식 상황에서도 어떻게 사업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최근 이커머스 플랫폼 사업의 이슈에 대해 규제가 필요할지 저탄고지 멤버들과 얘기해봅니다. - 티몬&위메프와 같은 이커머스 비즈니스의 특성 - 플랫폼에 대한 현재의 규제와 논의되고 있는 규제 Key Speaker: 투토
Aug 21, 2024•28 min•Season 1Ep. 74
ep. 73 [큐텐 사태] 티몬, 위메프 미정산 통보와 이커머스 플랫폼의 위기 저탄고지 73회 (높여요 지식)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중지 통보로 시작된 큐텐 발 이커머스의 위기 예상되는 피해액만 수천억 원으로 소상공인 및 소비자들의 피해가 커져가고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저탄고지 멤버들이 알아봅니다. -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와 피해 규모 - 큐텐의 무리한 사업 확장과 불법행위 의혹 - 정부의 대응 Key Speaker: 투토
Aug 07, 2024•18 min•Season 1Ep. 54
ep. 72 [중국 해외직구 열풍] 해외직구 이대로 괜찮나? 저탄고지 72회 (낮춰요 탄식) 저탄고지 멤버들이 말하는 각자의 직구 경험, 해외 직구 규제 필요할까? 필요하다면 얼마나? Key Speaker: 겸또
Jul 24, 2024•29 min
ep. 71 [중국 해외직구 열풍] 전 세계가 C커머스 앓이중? 저탄고지 71회 (높여요 지식) 이제는 구매 대행 업체없이도 쿠팡 주문하듯, 손쉽게 해외직구를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어버렸다. 중국 쇼핑몰 3대장 알리, 테무, 쉬인의 무서운 해외 진출 속도와 함께 뜨겁게 떠오르는 쟁점을 알아봅시다. - 중국 쇼핑몰 급성장 & 배경 - 우리나라 정부의 직구 규제 발표와 철회 - KC 인증이 뭐길래 - 해외 인증사례 Key Speaker: 겸또
Jul 11, 2024•30 min
ep.70 한국의 자살률 [살아볼 만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전 연령에 걸쳐 자살률이 제일 높은 대한민국 과도한 규범과 경쟁에서 벗어나 우리 모두가 살 만하다고 느껴지는 사회가 되기 위해선 과연 어떤 것이 필요할까요? 저탄고지 멤버들과 함께 이야기해봅시다. key speaker : 리담
Jun 26, 2024•31 min•Season 1Ep. 70
저탄고지 69회 (높여요 지식) 저출산으로 한국이 사라진다?! 그렇다면 어렵게 출산으로 태어난 사람들이 살아갈만한 사회인가?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국민의 수가 OECD 국가 중 1위인 한국의 자살률의 현황과 그 원인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자살률을 낮추지 못 하면 출산율 역시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데.. 저탄고지와 함께 자살률과 출산율의 상관관계도 함께 살펴봅니다. key speaker : 리담
Jun 12, 2024•29 min•Season 1Ep. 69
Key Speaker: 투토 ep. 68 [서울시 외국인 가사(육아)인력 시범사업] 외국인 가사(육아)도우미 당신은 고용 하시겠습니까? 저탄고지 68회 (낮춰요 탄식) 1부의 서울시 시범사업에 대한 저탄고지 멤버들의 열정적인 토론,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Q1 : 외국인 가사도우미에 대해 한시적으로 최저임금을 조정해야 하는가? Q2 : 만약 내가 자녀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저렴한 80-100 만원선의 외국인 가사도우미가 서비스가 있다면 이용할 의사가 있는가? Key Speaker: 투토
May 30, 2024•31 min
ep. 67 [서울시 외국인 가사(육아)인력 시범사업] 맞벌이부부 양육부담 완화의 돌파구가 될것인가 저탄고지 67회 (높여요 지식)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합계출산율, 이에 대한 서울시의 가사(육아)인력 공급 확대를 위한 시범사업을 소개합니다. 어떤 정책인지 기대효과와 우려사항들은 없을지 저탄고지가 함께 알아봅니다. Key Speaker: 투토
May 15, 2024•27 min•Season 1Ep. 67
ep. 66 [주4일제] 주4일제 vs 연차 2배 밸런스 게임 저탄고지 66회 (낮춰요 탄식) 상상만으로도 재밌다! 주 4일제 vs 연차 2배 밸런스게임! 저탄고지 멤버들의 선택은? Key Speaker: 겸또
Apr 24, 2024•36 min
ep. 65 [주4일제] 주4일제 도입, 가능할까? 저탄고지 65회 (높여요 지식) 2024 총선을 앞두고 다시 한 번 뜨거운 감자가 된 주 4일제, 과연 우리나라에도 주4일제가 도입될 수 있을까? - 주 4일제 이전에 주 5일제, 그리고 주 6일제가 있었다. - 주 4일제 논의 배경 - 찬성과 우려 의견 - 우리나라와 해외 도입사례 Key Speaker: 겸또
Apr 03, 2024•35 min•Season 1Ep. 65
ep. 64 [필수의료정책과 의사 총파업] 피할 수 없는 의료 난제 저탄고지 64회 (낮춰요 탄식) 큰 병원에 진료를 받으러 하루를 꼬박 이동 시간에 써야 되고, 응급실에 가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이 50%라면, 과연 우리 중 누가 지역 의료 부족과 응급 의료 부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요? 2부에서는 지역 의료와 응급 의료의 부족을 느꼈던 경험과 이번 의료 파업에 대한 저탄고지 멤버들의 가감없이 솔직한 생각을 함께 나눠봅니다. key speaker : 리담
Mar 20, 2024•30 min
ep. 62 [서울시 안심소득 정책] 기본소득 정책의 필요성 저탄고지 62회 (낮춰요 탄식) 서울시에서 실행하는 기본소득 실험 서울 안심소득 정책. 이와 같은 기본소득이 효과적인 정책일지 또한 미래를 대비하는 방법일지 토론해봅니다. Key Speaker: 투토
Mar 20, 2024•36 min•Season 1Ep. 62
ep. 63 [필수의료정책과 의사 총파업] 기로에 선 한국의 의료 난제 저탄고지 63회 (높여요 지식) 9천명 넘는 전공의의 사직과 의사 면허 정지 절차 진행. 의사와 정부 모두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 같은 이번 파업. 어떤 배경을 가지고 어떻게 발생했을까요? 저탄고지와 함께 정부가 발표한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사 총파업, 의료계의 해묵은 난제를 파해쳐봅시다. key speaker : 리담
Mar 07, 2024•28 min•Season 1Ep. 63
저탄고지 61회 (높여요 지식) 소득이 높을수록 소득세가 커진다면 반대로 소득이 낮으면 국가에서 돈을 준다고요? 서울시에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있는 기본소득 실험. 저탄고지 멤버들이 어떤 정책인지 소개해드립니다. Key Speaker: 투토
Feb 07, 2024•22 min•Season 1Ep. 61
ep. 60 [정신질환 인식개선]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한 나만의 방법은? 저탄고지 60회 (낮춰요 탄식) 그렇다면, 저탄고지 멤버들이 생각하는 ‘나만의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법’은? 여러분만의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Key Speaker: 겸또
Jan 24, 2024•36 min
저탄고지 59회 (높여요 지식) 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여러분의 정신 건강은 안녕하신가요? 몸 건강 만큼이나 중요한 정신 건강. 우리사회는 얼마나 정신건강,질환에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요? 우리 사회는 정신 질환에 얼마나 관대할까? 사실 꽤나 잘 되어있는 우리나라 정신과 의료 시스템 이제 정부도 나섰다.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해외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미국, 영국, 호주의 사례 Key Speaker: 겸또
Jan 24, 2024•38 min•Season 1Ep. 59
ep 58. [사회적 재난과 안전 사회 2부] 저탄고지 58회 (낮춰요 탄식)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회가 되려면? 살면서 사회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던 것들과 안전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들을, 함께 하는 시민으로써 저탄고지 멤버들과 이야기 해봅시다. - 우리가 생각하기에 안전 사회를 위협하는 것들 - 우리가 생각하는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 Key Speaker: 리담
Dec 28, 2023•35 min•Season 1Ep. 58
ep 57. [사회적 재난과 안전 사회 1부] 저탄고지 57회 (높여요 지식) 안전 사회로 가기 위해 살펴볼 것들 세월호 참사 이후 10년도 되지 않아 겪은 이태원 참사. 안전 사회를 논의하기 위해 사회적 재난의 특징와 패턴을 자연 재난과의 차이점을 통해 알아봅니다. 그리고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과 이를 가로막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저탄고지 멤버들과 이야기 해봅시다. - 사회적 재난 vs 자연 재난. 차이점은? -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것들과 방해하는 것들: 인정의 문제와 2차 가해 Key Speaker: 리담
Dec 13, 2023•27 min•Season 1Ep. 57
ep.56 [집중력의 소멸 2부] 집중력을 유지하는 비법 저탄고지 56회 (낮춰요 탄식) 집중해야 할 상황이 필요할 때 또는 집중이 안 될 때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하시나요? 저탄고지 멤버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꿀팁공개! 재밌는 밸런스 게임까지. - 저탄고지 멤버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꿀팁 방출 - "스마트폰과 SNS가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서 살기 VS 현재의 시대를 살기" 여러분의 선택은? Key Speaker: 투토
Nov 29, 2023•26 min•Season 1Ep. 56
ep.55 [집중력의 소멸 1부] 현대인의 집중력이 소멸되고 있다? 저탄고지 55회 (높여요 지식) 현대인들의 집중력 저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비만율 증가와 같은 사회적 문제라고요? 현대인의 집중력 저하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저탄고지 멤버들과 함께 알아봅니다. -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4가지 이유 - 집중력 저하의 개인적 사회적 관점에서의 문제 - 근본적인 집중력 회복 방법 Key Speaker: 투토
Nov 08, 2023•37 min•Season 1Ep. 55